여 띄어쓰기 참고하세요 '여'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할까요? 앞말과 붙여 써야 할까요? 여 띄어쓰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여'는 앞말에 붙여 써야 합니다. - 백여 명 (O)- 백 여 명 (X) '여(餘)'는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그 수를 넘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이므로 앞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접미사는 앞말에 붙여 써야 함) (예) 그와 사귄지도 십여 년이 흘렀다. (O)(예) 그와 사귄지도 십 여 년이 흘렀다. (X) (예) 이 일은 내가 이십여 년을 공들인 일이다. (O)(예) 이 일은 그가 이십 여 년을 공들인 일이다. (X) (예) 이 음식은 20여 명이 먹을 분량이다. (O)(예) 이 음식은 20 여 명이 먹을 분량이다. (X)'그 수를 넘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띄어쓰기 2024. 10. 8. 들어가다 띄어쓰기 '들어가다'는 '들어 가다'와 같이 띄어 써야 할까요? '들어가다'와 같이 붙여 써야 할까요? 들어가다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들어가다'와 같이 붙여 써야 합니다. - 들어가다 (O)- 들어 가다 (X) '들어가다'는 '밖에서 안으로 향하여 가다' 또는 '어떤 단체의 구성원이 되다'는 의미를 지닌 동사로서 그 자체가 한 단어이기 때문에 모든 음절을 붙여서 '들어가다'와 같이 붙여 써야 합니다. 간혹 보면 '들어가다'를 동사 '들다' + 동사 '가다'의 구성으로 착각하여 '들어 가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경우가 있는데요, '들어가다'는 그 자체가 한 단어이므로 띄어 적지 않습니다. (예) 그는 강물 속으로 들어갔다 (O)(예) 그는 강물 속으로 들어 갔다 (X) (예) 그.. 띄어쓰기 2024. 10. 2. 두번째 띄어쓰기 띄어쓰기가 틀리기 쉬운 말 중에 '두번째'가 있는데요, '두번째'는 '두 번째'로 띄어 써야 할까요? '두번째'로 붙여 써야 할까요? 두번째 띄어쓰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두 번째'와 같이 띄어 써야 합니다. - 두번째 (X)- 두 번째 (O) '두 번째'에서 '두'는 접두사가 아니고 '수량이 둘임'을 나타내는 관형사이고 '번째'는 의존명사이기 때문에 '두'와 '번째'는 띄어 적어야 합니다. ※ 관형사와 의존명사는 각각 띄어 적어야 함. ① 두그 수량이 둘임을 나타내는 말. (관형사) ② 번째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말. (의존명사) ③ 두 번째차례나 횟수가 두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관형사 + 의존명사) (예) 나는 그 집을 두번째 방문했다. (X)(예) 나는 그 집을 .. 띄어쓰기 2024. 6. 28. 할만하다 띄어쓰기 '할만하다'는 '할 만하다'와 같이 띄어 써야 할까요? '할만하다'와 같이 붙여 써야 할까요? '할만하다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할 만하다'와 같이 띄어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할만하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이 됩니다. ('만하다'는 보조형용사로 앞말과 붙여 씀이 가능함) ① 할 만하다 (원칙)(예) 이 일은 할 만하다.(예) 저 직업은 할 만하다. (예) 실력을 인정할 만하다. ② 할만하다 (허용)(예) 이 일은 할만하다.(예) 저 직업은 할만하다.(예) 실력을 인정할만하다. 한글맞춤법 제47항에서는 보조용언(보조형용사)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면서 '만하다' / '듯하다' / '척하다' 등은 붙여 쓰는 것을 허용하고 있습.. 띄어쓰기 2024. 5. 27. 가보다 띄어쓰기 '가보다'는 '가 보다'와 같이 띄어 써야 할까요? '가보다'와 같이 붙여 써야 할까요? 가보다 띄어쓰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가 보다'와 같이 띄어 써는 것이 원칙이지만 '가보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이 됩니다. - 가 보다 (원칙) - 가보다 (허용) 보조용언은 본용언과 띄어 적는 것이 원칙이지만, '-아/-어/-여' 뒤에 연결되는 보조용언은 붙여 적는 것이 허용됩니다. 따라서 '가(본용언)'와 '보다(보조용언)'를 붙여서 '가보다'와 같이 붙여 적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는 '가아'가 줄어든 것으로 봄) (예) 급하니 빨리 가 보자 (원칙) (예) 급하니 빨리 가보자 (허용) (예) 우리 함께 가 보자 (원칙) (예) 우리 함께 가보자. (허용) (예) 내일은 .. 띄어쓰기 2024. 3. 18. 만들어주다 띄어쓰기 '만들어주다'는 '만들어 주다'와 같이 띄어 써야 할까요? '만들어주다'와 같이 붙여 써야 할까요? 만들어주다 띄어쓰기에 대 해 살펴보겠습니다. 만들어주다'는 '만들어 주다'와 같이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만들어주다'와 같이 붙여 쓰는 것도 허용이 됩니다. ※ 원칙적으로는 '만들어 주다'와 같이 띄어 써야 하지만 '만들어주다'와 같이 붙여 씀도 허용됨. ① 만들어 주다 (원칙) ② 만들어주다 (허용) '만들어주다'는 '만들다'와 '주다'가 결합된 용언으로서 '만들어'는 본동사(본용언)이고 '주다'는 보조동사(보조용언)인데요, 한글맞춤법 제5장 제3절 제47항에서는 보조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씀도 허용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만들어 주다'와 같이 띄어 써도 되고 '만들어주다'.. 띄어쓰기 2023. 7. 2. 이전 1 다음